목차
1. IOS
2. IOS - 라우터, 스위치 접속
3. IOS - 설정 저장
4. IOS - IP 설정
5. RPM
6. DNF
IOS
IOS는 시스코 시스템의 운영체제이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CLI(Command Line Interface)와 GUI가 모두 지원된다.
GUI의 설정은 CLI에 비해서 쉬우나 모든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CLI 작업에 익숙해야 한다.
● User EXEC Mode
사용자 모드로, 장치 설정이 불가능하다.
프롬프트는 Router >, Switch > 와 같이 나온다.
장비를 구분하기 위해 장비 설정 전 반드시 이름을 변경한다.
● Privileged EXEC Mode
관리자 모드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설정이나 동작 확인
- 제한적인 설정 명령
- show 등의 명령어 (show 명령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 네트워크 확인 : ping, telnet, traceroute
- 설정 저장이나 재시작 : write memory, reload
프롬프트는 Router# >, Switch# > 와 같이 나온다.
● Global Configuration Mode
장치 설정 모드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EXEC 모드의 모든 명령어 사용 가능
- 스위치나 라우터의 설정 모드
프롬프트는 Router(config)#, Switch(config)# 와 같이 나온다.
IOS에는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커맨드가 있다.
? : 각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를 알려준다.
ex) conf? 혹은 configure ? : conf로 시작하는 명령어나 configure 이후 옵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TAB]: 원하는 명령어의 일부만 치고 [TAB]키를 치면 그 명령어를 자동 완성 시켜준다.
IOS - 라우터, 스위치 접속
라우터나 스위치의 콘솔 포트에 컴퓨터를 연결 할 경우, 현재 컴퓨터에는 콘솔포트가 막혀있으므로 USB to RJ45 콘솔 케이블을 이용한다.
장치 관리자에서 연결된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COM1은 시리얼포트 넘버이다.
● 장치 이름 설정
hostname [장치명]
Global Configuration 모드에서 수행한다.
현재 설정중인 장비가 뭔지 프롬프트에서 식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절차다.
● show 명령어
show [옵션]
장비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running‐config 옵션 : RAM의 현재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startup‐config 옵션 : NVRAM에 저장된 설정 내용을 확인한다. 부팅할 때 이 부분을 확인하므로 설정 후 반드시 여기에 저장한다.
(저장 명령어: 관리자 모드에서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ip interface brief 옵션 : 인터페이스 별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IOS - 설정 저장
● 설정 내용 저장
show running‐config 명령을 이용해 현재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설정 내용을 영구 저장하기 위해서는 NVRAM(start config)에 저장해야 한다. 관련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NVRAM에 현재 설정을 저장한다.
- write memory : NVRAM에 현재 설정을 저장한다.
- erase startup‐config : NVRAM의 설정을 삭제한다.
- reload : 장비를 재부팅한다.
● 메모리
- DRAM
: RAM 역할로, 현재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 NVRAM
: 하드 드라이브의 역할로, 장치가 부팅할 때의 설정이 저장된다.이때 startup configuration file의 내용이 저장된다.
● 추가 명령어
no ip domain-lookup
: ISO설정을 하다가 오타가 났을 때 장시간 기다리게 되는데, 이 대기 시간을 없앤다.
show clock
: 시간을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으나 굳이 손으로 설정할 일은 없다.
IOS - IP 설정
IP를 설정하는 과정은 '인터페이스 모드 - IP 할당 -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 인터페이스 모드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or 인터페이스 범위] (스위치는 Vlan에 IP를 할당한다.)
ex) (config)# interface gigabitEthernet0/0
range fa0/1‐10, fa0/21
- IP 할당
ip address[ip] [netmask]
ex) (config‐if)# 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no shutdown / shutdown
ex) (config‐if)# no shutdown
라우터는 인터페이스마다 IP주소를 따로 가지므로 인터페이스 별로 설정해줘야 한다. 이후 no shutdown 명령어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해줘야 한다.
// 라우터 IP 설정 순서 //
R1# conf t
R1(config)# int g0/0
R1(config‐if)# ip address 1.1.1.1 255.255.255.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end
R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스위치는 IP주소를 할당할 이유가 없으나, 만에 하나 할당하게 된다면 스위치 장비 자체에 IP세팅을 할 수 있다. 장비 하나로 장비가 여러개인 것처럼 세팅할 수도 있다. 이는 Vlan1, Vlan2 ... 로 구분한다.
// 스위치 IP 설정 순서 //
S1# conf t
S1(config)# int vlan 1
S1(config‐if)# ip address 1.1.1.201 255.255.255.0
S1(config‐if)# no sh
S1(config‐if)# end
S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이상의 것들로 아래와 같이 가상 네트워크를 구현해 볼 수 있다.
RPM
RPM (redhat package management)은 Redhat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술로, 프로그램의 설치, 검증, 삭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RPM 패키지 구조: 패키지명‐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명을 출력한다.
rpm ‐qi 패키지명 : 패키지의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rpm ‐ql 패키지명 : 패키지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한다.
rpm ‐qf 파일명 : 지정한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를 출력한다.
특히 -qa 옵션은 프로그램 조회, 설치, 삭제의 과정에 모두 필요하다.
● 설치 및 업그레이드
# rpm [‐ivh | ‐Uvh | ‐Fvh] 패키지명
-i 옵션 : 패키지를 설치한다.
‐U 옵션 :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한다. (이전 버전 미설치 시 설치한다.)
‐F 옵션 : 패키지의 업그레이드만 수행한다.
‐v 옵션 : 패키지 설치 과정을 출력한다.
‐h 옵션 : 패키지 설치 정도를 출력한다. (#)
‐Uvh 옵션을 주로 사용한다.
● 삭제
# rpm ‐e 패키지명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한다.
● 주요 추가 옵션
‐‐nodeps 옵션 : 의존성을 무시하고 작업한다. (삭제에 주로 이용한다.)
‐‐force 옵션 : 같은 버전의 패키지나 파일이 있어도 무시하고 작업을 진행한다.
‐‐oldpackage 옵션 : 다운그레이드 시 사용한다.
DNF
DNF(Dandified YUM)는 YUM의 기능을 개선한 명령으로, Rocky Linux, Oracle Linux와 같은 RPM 기반의 Linux 배포판 8버전 이상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매니저이다. (RPM -> YUM -> DNF 순서로 개선되었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법이 YUM과 호환된다.
YUM은 rpm의 고질적인 문제인 의존성을 해소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로 RPM과 동일한 형식의 설치 구조를 지원한다.
인터넷 리포지토리를 이용하는 기술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지원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 관리할 수 있다.
● 패키지 확인
# dnf list [ installed | updates | available | 패키지명 ]
dnf list :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updates : 업데이트된(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available : 설치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패키지명 : 패키지의 설치 여부와 update 정보를 보여준다.
● 설치
# dnf install [‐y] 패키지명
패키지를 리포지토리로부터 설치한다.
'일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근통제와 보안모델, VLAN, RSYNC (6) | 2025.01.28 |
---|---|
스위치, STP, DNF, CRON, PHP 조건문 (if, switch) (4) | 2025.01.26 |
혼잡제어의 원리, TCP 혼잡제어, Cisco 설치, 리눅스 - 네트워크 설정, 다양한 네트워크 명령어(ping, netstat, arp, traceroute(tracert), route) (0) | 2025.01.22 |
TCP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리눅스 - 자동 마운트 (2) | 2025.01.21 |
Selective repeat 프로토콜, TCP 프로토콜, TCP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리눅스 - 생성된 디스크 사용 과정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