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정리

라우터의 이해와 설정 (Static), 서버 실습

mysecurity 2025. 2. 3. 23:09

목차

1. 라우터의 이해와 설정 (Static)

1-1 Static(정적) 라우팅

 

2. 서버 실습

2-1 서버 실습 준비

2-2 서비스 관리 명령어

2-3 Target

 

 

1. 라우터의 이해와 설정 (Static)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 라우터 장치 외에도 거의 모든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OS에서 가능하므로 라우터는 실제로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 최근에는 방화벽과 공유기도 라우팅 기능을 지원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 static, RIP, OSPF, EIGRP, BGP 등

 

라우팅 프로토콜이 작동하는 방식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Distance Vector

물리적 거리를 측정해 최단 거리를 계산한다. 물리적 거리란 중간에 거쳐가는 장치의 개수를 말한다.

ex) RIP

 

● Link‐State

네트워크 상태를 살펴 최소 시간을 계산한다.

ex) OSPF

 

● Advanced Distance Vector

CISCO 사에서 만든 더욱 향상된 성능의 Distance Vector이다.

ex) EIGRP

 

동일 목적지에 대한 경로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해 수집될 경우 프로토콜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경로를 결정한다.

 

1-1 Static(정적) 라우팅

정적 라우팅은 모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직접 관리자가 입력해주는 방식이다.

- 단순 경로 네트워크나 단일 외부 경로를 가진 최종 사용자 네트워크에 매우 유용하다.

 

정적 라우팅 구현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마다 ip설정만 해놓은 경우, R1은 1.1.1.0/24와 12.1.1.0/24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으므로 2.2.2.0/24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는 없다. 때문에 반드시 위와 같이

ip route [dst IP] [dstnetmask] [next_ip| exit_interface]

명령을 추가로 입력하여 수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지정해주어 통신할 수 있다. R2도 이와 동일하다.

 

정적 라우팅 심화 구현

 

같은 방식으로 위와 같은 심화 구현이 가능하다.

 

2. 서버 실습

2-1 서버 실습 준비

리눅스 실습을 위해 원본 리눅스 파일을 생성해두고 실습이 필요하면 원본의 클론 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 클론을 생성한 후에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이 NAT인지 Bridge인지, ip주소는 어떤지 반드시 확인하고 맥주소 또한 변경한다.

 

가상머신을 작동시켰다면 원활한 실습을 위해 우선적으로 다음과 같은 설정을 진행한다.

● SElinux설정

# vi /etc/selinux/config

SELINUX=disabled

 

/etc/selinux/config 파일에서 SELINUX=disabled 로 수정한다.

 

● 데몬설정

NetworkManager‐wait‐online.service

NetworkManager.service

chronyd.service

crond.service

dbus‐broker.service

gdm.service

rsyslog.service

sshd.service

syslog.service

systemd‐network‐generator.service

systemd‐remount‐fs.service

vmtoolsd.service

 

ntsysv에 들어가 위의 설정들만 활성화, 나머지 설정은 모두 비활성화한다. 이 설정은 재부팅 시 적용된다.

 

2-2 서비스 관리 명령어

● 서비스 조회

# systemctl list‐unit‐files

-모든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한다.

 

# systemctl [is‐enabled | is‐active] [서비스명]

- 이 서비스가 자동 실행되는 것인지, 혹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enabled / disabled, active / inactive(실행되다가 죽은 경우) / unknown(실행된 적도 없는 경우)

 

● 서비스 등록

# systemctl [enable | disable] [서비스명]

- 이 서비스의 자동 실행 등록 및 등록 해제를 한다.

 

● 서비스 실행

# systemctl [start | restart | stop] [서비스명]

- 이 서비스의 실행, 재실행, 종료를 명령한다.

 

● systemctl 추가 옵션

# systemctl [옵션] [서비스명]

-try‐restart  : 실행, 재실행, 종료를 한다.

-Reload : 설정 재구동을 한다.

-status  : 상태 확인을 한다.

 

2-3 Target

타겟은 init의 run level과 동일한 개념이다.

- run level보다 다양한 모드를 제공한다.

 

ex)

graphical.target = init5 = run level 5 = x-window 화면이 나온다.

multi‐user.target = init3 = run level 3 = 터미널 화면만 나온다.

 

● 제공되는 타겟 확인

# systemctl list‐units ‐‐type target ‐‐all

 

● Default target 확인

/etc/systemd/system/ 에서, 혹은 # systemctl get‐default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다.

 

● Default target 설정

# systemctl set‐default  [타겟]

- 기본 타겟을 변경한다.

- 타겟 변경 후엔 시스템을 리부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