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정리

DNS, 원격 데스크톱, SQL(ORACLE, TNS)

mysecurity 2025. 2. 18. 23:28

목차

1. DNS

1-1 DNS 개요

1-2 DNS 구조

1-3 DNS 서버의 종류

1-4 DNS 캐싱

 

2. 원격 데스크톱

2-1 원격 데스크톱 연결

 

3. SQL

3-1 ORACLE 설치

3-2 TNS

 

 

1. DNS

1-1 DNS 개요

DNS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로, 다른 응용 계층 프로토콜들이 HTTP, FTP 등 사용자가 제공한 호스트네임을 ip로 변환하는데 이용한다.

- 수많은 name server들이 트리구조로 구조화 되어있다.

- ip와 이름 간 매핑 기능을 제공한다.

 

● 호스트 에얼리아싱(host aliasing)

- 정식(canonical) 호스트명 : 가장 먼저 등록된 이름이다.

- 별칭(aliasing) 호스트명

- DNS는 IP뿐 아니라 정식 호스트명을 얻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DNS 서버 설정
윈도우 cmd nslookup 명령어 실행 화면

 

nslookup 명령어는 어떤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알려주는 명령어로, 이때 DNS 서버에게 질의를 하는 것으로 해당 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출력해준다. 

이때 이더넷 설정에서 DNS 서버 주소를 164.124.101.2로 설정해놨으므로 해당 DNS 서버에서 www.google.com의 ip주소 164.124.101.2를 받아온 것을 볼 수 있다.

 

nslookup 명령어로 ip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에 맞는 도메인 네임을 출력해준다.

 

1-2 DNS 구조

 

DNS 서버 구조

 

각 계층은 자신의 하위 계층 서버에 대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위의 그림 상 가장 하위 계층은 www, mail, ftp 등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하위 계층은 자신의 상위 계층에 돈을 내고 ip 주소를 등록하는 것이다.

 

도메인 네임의 형식은 세부 주소 -> 큰 주소 순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www.amazon.com. 의 경우 루트 밑 com 밑 amazon 밑 www라는 컴퓨터로 접속하는 것이다. 

모든 도메인 네임의 마지막에는 .(root)가 붙어있으나, 항상 붙어있는 것이므로 생략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Client가 www.amazon.com의 IP를 원하는 경우 local DNS 서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 local DNS 서버 = 캐시네임서버 = 도메인 정보를 가지지 않은 서버로, root dns 서버의 ip주소만을 가지고 있다.

 

① Root DNS서버에 접속하여 com DNS server의 IP를 질의한다.

② 응답받은 com DNS서버의 IP로 amazon.com을 관리하는 DNS server의 IP를 질의한다.

③ 응답받은 amazon.com 관리 DNS server에게 www.amazon.com의 IP를 질의한다.

④ 획득한 www.amazon.com의 IP를 Client에게 제공한다.

 

1-3 DNS 서버의 종류

● TLD (Top-Level Domain)

root dns 서버의 바로 하위 계층 서버들을 TLD(Top-Level Domain) 서버라고 부른다. com, org, net 등과 같은 상위 레벨 도메인과 모든 국가의 상위 레벨 도메인에 대한 책임이 있다.

 

● 도메인에 따른 등록 기관

com : 일반 기업

edu : 대학교

gov : 미국 정부

mil  :  군사 관련 민간 협력 기관

org  : 위와 같은 성질을 정의하기 어려운 기타 기관

 

● Authoritative DNS server (1차, 2차)

인터넷에 접근하기 쉬운 host를 가진 기관은 호스트명을 IP로 매핑하기 위한 DNS 레코드를 제공하는데, 이때 책임 DNS 서버가 레코드를 갖는다.

일부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DNS 서버에 이 레코드를 저장하도록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다.

 

1-4 DNS 캐싱

● Cache DNS server(Forwarder)

- 엄격한 계층 구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 IP 매핑을 위한 도메인 정보를 갖지 않는다.

- 호스트의 질의에 대답만을 제공한다.

- Local DNS 서버로 authoritative DNS보다 많이 쓰인다.

cache DNS 서버는 주로 local DNS 서버로 많이 이용된다.

 

● 질의 사슬에서 DNS 서버가 DNS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 그 응답을 local  memory에 저장한다.

- DNS 서버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저장된 정보를 삭제한다.

- Local name 서버는 TLD 서버의 IP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 이러한 caching은 local DNS 서버가 root 서버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

 

cache DNS 서버를 가상 환경에서 작동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DNF 명령어로 DNS 서버 설치 확인 및 설치

   # dnf list bind bind‐utils

   # dnf install –y bind

 

② 환경 설정

-  /etc/resolv.conf 파일에서 자신의 로컬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③ /etc/named.conf 파일 설정

기존의 내용은 모두 지운 후 다음의 내용을 저장한다.

options {
 	directory "/var/named";
 };
 
 zone "." {
 	type hint;
 	file "named.ca";
 };

 

④ cache 파일 확인

- named.ca 파일에서 root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cat /var/named/named.ca

 

⑤ name 서버 시작

- systemctl [start | stop | status] named.service

 

위와 같은 설정을 마쳤다면 다음과 같이 DNS 서버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NS 서버 작동 확인

 

● DNS 서버 구성과 관련 파일

데몬: /usr/sbin/named

 

관리 스크립트: /usr/lib/system/system/named.service

 

환경 설정 파일: /etc/named.conf

 

설정 파일 경로: /var/named/

   - named.ca와 여러 zone 파일들

 

이외 관련 파일: /etc/resolv.conf,  /etc/host.conf

 

실행을 위한 최소 권한

   - /etc/named.conf, /var/named, /var/named/*

   - 그룹 소유자는 반드시 named로 정의한다.(DNS 서버 설치를 했다면 자동으로 설정된다.)

 

2. 원격 데스크톱

2-1 원격 데스크톱 연결

원격 데스크톱 연결 설정으로 가상머신으로 생성한 윈도우 환경을 호스트 PC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가상 환경의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가상 윈도우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해 설정에서 관련 설정을 활성화한다.

 

호스트 PC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호스트 PC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찾아 들어간다.

 

원격 데스크톱 설정

 

접속하려는 가상 윈도우의 ip 주소와 계정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해당 파일을 통해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 

 

3. sql

3-1 ORACLE 설치

가상 머신의 윈도우 서버의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

mklink /d c:\down \\vmnet8 ip\down

ex) mklink /d c:\down \\192.168.11.3\d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호스트 PC의 down 폴더와 가상 머신 윈도우의 c:\down 폴더와 링크시킬 수 있다.

- 호스트 PC의 어떤 드라이브의 down 폴더인지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c와 d에 down이 모두 있었다면 양쪽 모두의 데이터가 c:\down 폴더에 링크된다.

- 호스트 PC의 폴더에 있는 설치 파일을 링크하여 가상 윈도우 환경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오라클 설치 화면 1

 

관리자 유형과 런타임 유형 모드 가능하나 용량이 조금이라도 작은 런타임을 선택하고 넘어간다.

 

오라클 설치 화면 2

 

Windows 내장 계정 사용을 선택하고 넘어간다.

 

오라클 설치 화면 3

 

설치할 위치를 지정한다. 설치 위치에 후술할 TNS 명을 정의해야하므로 반드시 설치 위치를 기억한다.

 

오라클 설치 화면 4

 

시스템이 돌아가는데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시켜주는 화면이다. 문제가 없다면 설치한다.

 

오라클 설치 완료 화면

 

설정 완료 화면이다.

 

3-2 TNS

클라이언트가 오라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에 필요한 프로토콜, 포트 번호 등을 알아야한다. 이러한 설정을 해주는 파일이 tnsnames.ora 파일이다. 

 

tnsnames.ora 파일을 읽어들여야 클라이언트가 오라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tnsnames.ora 파일을 오라클 파일 저장 위치에서 client - network - admin 위치에 저장한다.

 

 

sqlplus 계정/암호@서버정보

명령어를 통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진입할 수 있다.

tnsnames.ora 파일에서 오라클 서버 'dal'에 대한 정보를 정의해놨으므로 가상 윈도우에서 dal로 접속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