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amba
1-1 Samba 개요
1-2 smb.conf [global]
1-3 smb.conf [share]
1. Samba
1-1 Samba 개요
삼바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티션을 공유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유닉스 계열의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유닉스 시스템과 윈도우 시스템간 파일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이 아닌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유의한다.
● Samba 서버 확인 및 설치
# dnf list samba
# dnf install ‐y samba
● 데몬
/usr/sbin/smbd
: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데몬이다. (139번 포트 이용)
/usr/lib/systemd/system/smb.service
: 데몬 실행 스크립트이다.
/etc/samba/smb.conf
: Samba 설정 파일이다.
● 데몬 실행
# systemctl start smb.service
● 관련 명령어
- 사용자 등록 및 password 변경: /usr/bin/smbpasswd
# smbpasswd [‐a] 유저 명
-a : 유저 등록
-x : 유저 삭제
-d, -e : 사용 중지, 재사용
- 삼바 계정 리스트 : # pdbedit -w -L
- smb.conf 구문 검사 : /usr/bin/testparm
- NetBIOS명 검색 : /usr/bin/nmblookup
1-2 smb.conf [global]
- workgroup
: NT 도메인 명을 지정한다.
- netbios name
: 네트워크 이름
: 기본값(호스트명)
-- 지금은 IP를 이용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 hosts allow, hosts deny
: 허가(거부) 항목을 지정한다.
-- 삼바 서버는 애초에 외부에서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 Link 디렉토리 접근
보안 설정으로 인해 Symlink 디렉토리에 대한 기본 접근이 불허된다. 이를 허용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follow symlinks = yes
wide links = yes
unixextensions = no
- 언어셋 지정
유닉스 계열의 언어셋과 클라이언트인 윈도우즈 계열의 언어셋이 달라 자동 변환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unixcharset = utf‐8
dos charset = cp949
- 접속 거부 운영체제 접속
윈도우XP 와 같이 Samba 접속이 거부되는 운영체제의 경우 다음 설정을 활성화 해준다.
lanman auth = yes
ntlmauth = yes
1-3 smb.conf [share]
- path = /home/data
: 공유 경로를 지정한다.
- browseable = no
: 공유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정한다. (yes/no)
: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 writable = yes
: 쓰기 권한 접근 허용 여부를 정한다. (yes/no)
: Write list 설정과 무관하게 퍼미션이 있으면 쓰기가 가능하다.
- Public = no
: 누구에게나 접근을 허용할지 여부를 정한다. (yes/no)
- Read only = yes
: 읽기 전용 접근 여부를 정한다. (yes/no)
※ 쓰기권한과 읽기 전용 설정은 yes와 no를 적절히 분배해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부분만 yes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 valid users = 사용자
: 접근 가능한 사용자를 지정한다.
- write list = +group user
: 공유 경로에서 쓰기 가능한 그룹이나 유저를 지정한다.
지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이 force를 이용해 강제할 수 있다.
(force) create mask = 644
(force) directory mask = 755
(force) group = 그룹명
● [homes]
[homes]는 기본으로 지정되는 설정으로 다음과 같이 각 계정의 홈 디렉토리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comment = Home Directories
browseable = no
writable = yes
공유 관련 설정 예는 다음과 같다.
[public]
comment = Public dir
path = /home/pub
public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 +teusr01
[project]
comment = project
valid users = usr01 usr02
path = /home/pro1
public = no
browseable= yes
writable = yes
몇 명만 사용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경우, [porfect] 부분과 같이 valid users에 허용할 유저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다음 설정을 이어간다. 또한 허용할 유저들만 그룹으로 묶어 디렉토리에 대하여 퍼미션을 지정한다.
'일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약 조건: (UK, NOT NULL, CHECK), 제약 조건 관리 - 추가 삭제와 비활성화, 인덱스 구조와 이해 (0) | 2025.03.19 |
|---|---|
| 테이블 생성과 데이터 타입(DDL), 테이블 관리, 제약 조건 : PK, FK (0) | 2025.03.18 |
| PHP - DB 접속 (0) | 2025.03.09 |
| DML - INSERT, UPDATE, DELETE, Transaction과 Lock (0) | 2025.03.06 |
| NFS, 그룹 함수와 HAVING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