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정리

KH 정보교육원 정보보안전문가 과정 3일차

mysecurity 2025. 1. 3. 17:34

3일차 수업은 인터넷의 구조와 패킷교환에서의 지연/손실,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에 대해 알아보고 이전 실습의 복습과 함께 이전 수업에서 만들어 놓은 리눅스 계정에 로그인하는 등의 내용을 진행했다. 수업에서 익숙치 않았던 부분이나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본다.

네트워크 용어 정리

 

ISP: Internet Service Provide. KT, SK 등.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제한해선 안됨.

 

NAP: Network Access Point. 네트워크 접속 지점.

 

tier-1 ISP: ISP의 ISP.

 

tier-2 ISP: tier-1 ISP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ISP.

 

tier-3 ISP: 작은 지역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 우리나라보다는 땅이 넓은 미국에 많이 존재.

 

네트워크에서의 local: 내가 서비스 받는 놈. ex) local ISP = 내가 서비스 받는 ISP(나의 경우는 SK).

 

네트워크에서의 투명성: 볼 필요가 없음.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 프로세서

 

레이어링: 업무분할. 내 할 일만 잘하면 됨.

 

Traceroute(Tracert)명령어: 출발지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경로상에 있는 모든 라우 터까지의 전달과정과 지연을 측정.

 

패킷 지연 4가지

 

1. 처리지연

패킷의 헤더 조사, 에러 점검, 출력 방향 결정에 따른 지연.

 

2. 큐잉지연 <<< 실제로는 가장 문제.

큐에서 패킷이 대기하는 시간.

라우터의 혼잡처리에 의존.

 

트래픽 강도 =  La/R

R = 링크의 전송률

L = 패킷의 길이

a = 패킷이 큐에 도착하는 평균 속도

 

트래픽 강도 ~ 0 : 큐잉 지연 매우 작음

트래픽 강도 < 1 : 지연이 커짐

트래픽 강도 > 1 : 지연이 무한대로 증가

>>> 트래픽 강도가 1보다 크지 않게 시스템 설계

 

3. 전송지연

패킷의 길이와 링크의 전송률에 따른 지연.

전송지연 = 패킷길이/링크전송률

 

4. 전파지연

신호가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전파지연 = 링크길이/전달속도

 

레이어링의 장점

 

복잡한 시스템에 유용.

각 레이어를 개선하는 작업은 다른 레이어에 대해서 투명.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Application(응용):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 FTP, SMTP, HTTP

 

Transport(전송): 프로세서 - 프로세서 간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

• TCP, UDP

-------밑으로는 네트워크 코어-------

Network(네트워크): 출발지(Host)에서 목적지(Host)까지 datagram의 routing을 담당.

• IP, routing protocol

 

Link(링크):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data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

PPP, Ethernet

 

Physical(물리): bit “ on the wire ”

 

Encaps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