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계층 모델
TCP/IP 계층 모델
- TCP/IP 계층 모델은 1973년 처음 발표된 모델로, 하위 계층부터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계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OSI 7계층 모델
- OSI 7계층 모델은 1983년 만들어지고 1984년 출간된 모델로, 하위 계층부터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응용'
계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 계층
- 물리 계층은 각 개별 시스템 간에 비트단위의 신호를 전송하는 책임을 담당한다. 즉, 전기적인 신호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낼지를 신경쓴다.
데이터링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은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랜카드, 브릿지, 스위치 등의 장비가 이에 해당된다.
- 이 계층에서부터 비로소 데이터를 다룬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은 개별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구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라우터(루터)라는 장비가 여러 프로토콜의 라우팅(패킷이 날아가는 경로를 찾는 것)을 담당하는 것이 이 계층에 해당한다.
물리 ~ 네트워크 계층까지는 네트워크 코어와 관련된 부분으로, 패킷을 어떻게 잘 전달할 지를 고민한다.
전송 계층
- 전송 계층은 상위 프로토콜을 구분하고 패킷의 순서와 손상을 보장한다.
응용 계층
- 응용 계층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받아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전송 ~ 응용 계층은 네트워크 엣지와 관련된 부분으로, 전달된 패킷을 어떻게 사용할 지를 고민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그림으로 추상화 한 것이다.
버스형
- 버스형은 사실상 현대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LAN망이다.
- 복잡한 장비 없이 구성되어 가성비가 매우 우수하다.
스타형
- 스타형은 현재 LAN망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대표적으로 ATM이 있다.
링형
- 링형은 일반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으나, 안정성이 뛰어나 군시설이나 의료시설에서 사용한다.
- 대표적으로 FDDI가 있다.
패킷의 명칭
패킷의 명칭은 목적지 주소로 구별한다.
유니캐스트
- 유니캐스트는 1대1 통신 패킷으로, 목적지가 특정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브로드캐스트
- 브로드캐스트는 1대 다 통신 패킷으로, 목적지가 불특정한 것이 특징이다.
멀티캐스트
- 멀티캐스트는 1대 다 통신 패킷으로, 목적지가 특정된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더넷
CSMA/CD
- CSMA/CD는 이더넷의 통신 방식이다.
- 패킷의 흐름을 통제하지는 못한다. 즉, 패킷을 내보내면 같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에 도착되어진다.
- 네트워크 라인에 패킷은 반드시 하나만 있어야 한다.
- CSMA/CD에서 CS는 Carrier Sense, MA는 Multiple Access, CD는 Collision Detect를 뜻한다.
Carrier Sense
- Carrier Sense 는 네트워크 상에 패킷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Multiple Access
- Multiple Access 는 패킷을 같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Collision Detect
- Collision Detect는 잡음을 탐지하면 패킷 전송을 잠시 쉬는 것을 말한다.
- 이때 잡음이란 컴퓨터가 해석하지 못하는 신호들을 통칭한다.
MAC Address
- MAC Address는 통신 장비의 물리적 주소이다.
- 앞의 24비트는 제조사의 벤더 주소, 뒤의 24비트는 제품 고유 주소를 나타낸다.


이더넷의 성능

노드 수에 따른 패킷량의 변화는 위 그래프의 노란 선과 같다.
- 일정 수준 이상으로 노드가 증가하면 각 노드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줄어든다.
- 노드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네트워크의 가용성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 A 지점과 B 지점의 패킷 량은 같으나, A 지점은 네트워크의 여유가 있는 상태이므로 속도가 빠르고, B 지점은 Collision으로 인해 네트워크가 포화상태이므로 속도가 느리다.
-이더넷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Collision 도메인을 분할하여 Collision 도메인을 여러개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VMware 클론생성(Rlinux8)







이후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 유형을 브릿지로 바꾸고 주소값을 변경하면 복제품을 또 하나의 호스트 PC인것 '처럼' 동작시킬 수 있다.



리눅스 명령어
# command [-단일문자옵션] [--다중문자옵션]
ex) ls -a -l 은 ls -al
파일명이 .으로 시작하면 히든파일이다.
파일명을 기재할 때 파일명 안에는 항상 경로가 들어있어야 한다.
디렉토리
- 디렉토리는 파일을 담고 있는 일종의 방이다.
- 절대/상대 경로 표현 방법이 있다.
절대 경로 표현방법
- 절대 경로 표현방법은 '/'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상대 경로 표현방법
- 상대 경로 표현방법은 현재 위치 './' 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루트 디렉토리 밑에 구성되어있는 디렉토리////
etc : 환경설정 파일이 모여있는 디렉토리이다.
var : 환경설정 파일의 내용이 바뀌는, 즉, 가변적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디렉토리이다.
home :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홈 디렉토리가 생기는 디렉토리이다.
usr : 추가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디렉토리이다.
bin : 명령어가 들어가 있는 디렉토리이다.
sbin : 시스템 관리 관련 명령어가 들어가 있는 디렉토리이다. 보통 관리자 계정인 root가 사용한다.
////디렉토리의 표현////
/ : 최상위 root 디렉토리를 나타내며, 절대경로 표현의 기준이다.
./ :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상대경로 표현의 기준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 : 각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디렉토리 명령어////
cd :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로, 보통 옵션 없이 사용한다. ex) # cd [이동할 디렉토리명]
pwd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절대 경로 표현법으로 출력한다.
rmdir : 지정한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단, 디렉토리가 비워져 있는 경우만 가능하다.
mkdir : 지정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렉토리는 생성한 유저의 소유가 된다.
(-p, --parents: 필요하다면 생성하고자 하는 상위의 디렉토리까지 생성한다.)
tree : 디렉토리 구조를 출력한다.
(-d: 디렉토리만 출력한다.)
////파일 명령어////
ls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출력한다.
ls의 옵션
‐a, ‐‐all : 숨겨진 파일의 목록까지 출력
‐l :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의 내용까지 출력
‐h :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파일의 크기를 출력
‐k : kb단위로 파일의 크기출력
‐i : 파일의inode 번호를 같이 출력 (고유번호)
'일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위치 허브, IP(IP,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특수 목적 IP, 리눅스 명령어 (1) | 2025.01.08 | 
|---|---|
| 이더넷의 확장 - 브릿지(Bridge), 브릿지의 작동 방식, 리눅스 명령어(리다이렉트, cat, echo, $, $(), cp, mv, rm, ln) (5) | 2025.01.07 | 
| KH 정보교육원 정보보안전문가 과정 3일차 (5) | 2025.01.03 | 
| KH 정보교육원 정보보안전문가 과정 2일차 (4) | 2025.01.02 | 
| KH 정보교육원 정보보안전문가 과정 1일차 (5)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