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정리

스위치 허브, IP(IP,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특수 목적 IP, 리눅스 명령어

mysecurity 2025. 1. 8. 17:32

 

스위치 허브

 

스위치 허브의 작동 방식은 브릿지와 동일하다.

스위치 허브의 구성도
초기 스위치 테이블

 

스위치 허브 구성과 초기 테이블이 위와 같을 경우, 스위치 허브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이 예를 들 수 있다.

 

※ A에서 B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

스위치 1의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로 저장하지 않고, B의 주소도 있으므로 2번 포트로만 패킷을 전송한다.

스위치 1, 2의 스위치 테이블

 

  A에서 F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

스위치 1의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롭게 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에 F의 위치 정보가 없으므로 1번 포트 외의 모든 포트로 패킷을 흘려보낸다. 

스위치 2의 테이블에는 A의 주소가 없으므로 포트 1 부분에 A의 주소를 새롭게 저장하고, 테이블에 F의 주소가 있으므로 3번 포트로만 패킷을 전송한다.

스위치 1, 2의 스위치 테이블

 

  E에서 A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

스위치 2의 테이블에 E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롭게 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1번 포트로만 패킷을 보낸다.

스위치 1의 테이블에는 E의 주소가 없으므로  5부분에 E의 주소를 저장하고,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1번 포트로만 패킷을 보낸다.

스위치 1, 2의 스위치 테이블

 

  C에서 F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

스위치 1의 테이블에 C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롭게 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에 F의 위치 정보가 없으므로 3번 포트 외의 모든 포트로 패킷을 흘려보낸다. 

스위치 2의 테이블에는 C의 주소가 없으므로 포트 1 부분에 C의 주소를 새롭게 저장하고, 테이블에 F의 주소가 있으므로 3번 포트로만 패킷을 전송한다.

스위치 1, 2의 스위치 테이블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스위치 테이블에는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주변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의 주소가 입력되게 된다.

 

 

 

IP

 

IP와 관련된 통신은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1. 나와 네트워크 주소가 같으면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2. 네트워크 주소가 다르면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한다.

이때 네트워크 주소가 같은지 다른지는 서브넷마스크(넷마스크)를 이용해 판별한다.

 

- IP

IP는 호스트를 구분하는 고유 주소이다.

32비트로 구성된다.

단독으로 설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와 함께 구성된다.

네트워크 ID(주소)와 호스트 ID(주소)로 구성된다.

 

- 게이트웨이

자신과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때,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와 길을 연결시켜주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게이트웨이가 있는 경우라도 default 게이트웨이는 반드시 한 개만 지정 가능하다.

게이트웨이 역할은 라우터나 공유기가 담당하는데, 이때 그 기기에 붙어있는 포트가 게이트웨이이다.

 

- 서브넷마스크

IP 주소 내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해준다.

IP와 서브넷마스크를 and연산하여 네트워크 ID를 구한다.

 

- 네트워크 ID

IP 주소 내에 서브넷마스크가 지정된 곳까지의 주소이다.

서브넷마스크는 네트워크 ID를 1로 마킹한다.

 

IP                    : 00000001 00000001 00000001 00000001    => ( 1.1.1.1 )

서브넷마스크  :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 ( 255.255.255.0 )  

and연산한 값  : 00000001 00000001 00000001 00000000    => (1.1.1.0)

 

위와 같을 때 

해당 IP의 네트워크 범위는 1.1.1.0 ~ 1.1.1.255까지이며, 네트워크 ID는 1.1.1.0,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1.1.255 이다.

 

특수 목적 IP

 

IP 주소 중에는 인터넷에서 특수 목적으로 정의되어 사용하면 안되는 IP 주소가 존재한다.

 

- Zero add

0.0.0.0 ~ 0.255.255.255

특수 목적으로 예약되어있다.

0.0.0.0 주소는 인터넷 상의 모든 컴퓨터를 나타낸다.

 

-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한 네트워크 대역의 가장 첫 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정해져있다.

 

- Zero configuration

169.254.0.0 ~ 169.254.255.255

DHCP나 RARP 서버가 없는 환경에서 자동 설정되는 IP 주소이다.

 

리눅스 명령어

 

※ more

화면 출력 내용을 화면 단위로 제어한다. 즉, 한 화면이 넘어가는 내용들을 한 화면씩 보여준다.

# more 파일

 

  | (파이프)

앞 명령의 결과를 뒤 명령의 입력 값으로 이용한다.

# ls -al | more

 

grep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출력 문자열 중에 원하는 단어나 글자가 들어있는 라인만 출력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 command | grep [필터링 문자열]

# ls -al | grep conf

 

head, tail

파일의 일부분을 출력한다. 각각 앞 뒤에서 10라인씩 출력한다.

-n ## 옵션: 지정한 라인만큼 출력한다.

-n ## 옵션: 지정한 byte 만큼 출력한다.

-f       옵션: 실시간 추가되는 내용도 출력하는 것으로 tail에서만 사용한다. 주로 로그정보 확인 시 사용한다.

 

  find

파일 시스템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검색한다.

# find  검색경로 검색조건1 검색조건2...

 

‐name     : 파일명으로 검색한다. (와일드카드문자 사용)

‐empty     : 크기가 0인 파일을 검색한다.

 

아직 배우지 않은 기타 조건들

‐perm      : 특정 퍼미션을 가진 파일을 검색한다.

‐user        : 지정한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을 검색한다.

‐group      : 지정한 그룹이 소유한 파일을 검색한다.

‐nouser    : 소유자가 없는 파일을 검색한다.

‐nogroup  : 그룹 소유자가 없는 파일을 검색한다.

‐type         : b(block), c(char), d(dir), l(slink), f(regular) 타입의 파일을 검색한다.

‐mount      :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만 검색한다.

‐empty      : 빈 파일을 검색한다.

‐mtime, ‐atime, ‐ctime 변경된 파일을 검색한다. (‐숫자)

mtime: 내용변경,  ctime: 정보변경,  atime: 접근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