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수업은 인터넷의 구조와 패킷교환에서의 지연/손실,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에 대해 알아보고 이전 실습의 복습과 함께 이전 수업에서 만들어 놓은 리눅스 계정에 로그인하는 등의 내용을 진행했다. 수업에서 익숙치 않았던 부분이나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본다.네트워크 용어 정리 ISP: Internet Service Provide. KT, SK 등.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제한해선 안됨. NAP: Network Access Point. 네트워크 접속 지점. tier-1 ISP: ISP의 ISP. tier-2 ISP: tier-1 ISP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ISP. tier-3 ISP: 작은 지역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 우리나라보다는 땅이 넓은 미국에 많이 존재. 네트워크에서의 local: 내가 서비스 받는 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