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3

Go-Back-N 프로토콜,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목차1. Go-Back-N 프로토콜2.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Go‐Back‐N 프로토콜 윈도우(window): 전송되었지만 확인이 안된 패킷을 위해 허용할 수 있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다. 한번에 패킷을 얼마나 보낼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send_base(sb)  : 윈도우의 가장 오래된 패킷이다.  타이머(timer): 패킷을 보내고 응답이 오기까지 합리적인 시간 제한을 설정한다. 타임아웃(timeout): 타이머의 시간이 다 되면 발생하는 이벤트다. 타임아웃 이벤트가 발생하면 패킷이 전송 중 소실된 것으로 판단한다. 송신자 측 설정- 타이머 설정: send_base에만 타이머를 설정한다. - 상위 레이어에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패킷의 다음 시퀀스 넘버를 검사하고 윈도우 내에 있으면 패킷을 전송한..

일일 정리 2025.01.16

rdt 2.2 (NAT가 없는 rdt), rdt 3.0 (패킷 소실), 파이프라인 프로토콜, 퍼미션, 파일의 속성

rdt 2.2 : NAK가 없는 rdt rdt 2.1과 달리 NAK를 사용하지 않는다. 누적 ACK를 이용하여 패킷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자는 이전까지 받은 ACK를 누적하여 어디까지 패킷이 정상 전달 되었는지 알 수 있다. sender tcp 통신과정 1. 0번 패킷을 보내기 위해 APP로부터 data를 기다린다. 2. 이벤트 : data를 APP로부터 전송받았다.     액션     : 시퀀스 넘버 0과 data, 체크섬을 담아 패킷을 만든다.                   IP에게 0번 패킷을 전송한다.                   IP로부터 0번 ACK를 받기를 대기하는 상으로 변경된다. 3. IP로부터 0번 ACK를 받기를 대기한다. 4. 이벤트 : IP로부터 받은 패킷이 손..

일일 정리 2025.01.15

UDP checksum, 신뢰적 데이터 전송, 리눅스 사용자 관리 관련 명령어, 리눅스 파일 구조

UDP checksum 체크섬은 데이터가 손상되었는지를 수신자 측에서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와 함께 세그먼트에 실어 보내는 값이다.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체크섬이 16비트면 송신자는 보내려는 데이터를 16비트씩 쪼갠다.2. 쪼갠 데이터를 순서대로 더한다. 이 값을 SUM이라고 한다.3. SUM의 값에 1의 보수를 취하면 그 값이 CHECKSUM이다.4. 세그먼트를 보낼 때 CHECKSUM을 UDP 세그먼트의 체크필드에 삽입하여 보낸다.5. 수신자는 세그먼트를 수신 후 CHECKSUM을 포함한 모든 16비트 값을 더한다.6. 그 값이 모두 1이면 에러가 없다. 하나라도 0이면 에러가 있다. 신뢰적 데이터 전송 rdt_send()       : 응용 계층이 하위 rdt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일일 정리 2025.01.14

ICMP, ARP/RARP, 전송계층(Transport Layer) 서비스 개요, 다중화( Multiplexing )와 역다중화( demultiplexing ), UDP, 리눅스 사용자 관리 관련 명령어

ICMP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이다. 네트워크 관리 및 오류 보고를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 및 경로 확인을 위해 사용된다.• ping• traceroute(tracert) ARP/RARP ARP는 시스템이 알고 있는 통신 상대방의 IP 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이다.목적지 맥주소를 요청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보낸다. 상대방의 응답 패킷은 유니캐스트로 온다. RARP는 주로 하드디스크가 없는 diskless 시스템에서 자신의 IP를 알기 위해 자신의 맥주소를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하여 RARP 서버에게 자신이 사용할 IP를 질의하는 프로토콜이다.ARP와 RARP 패킷의 구조는동일하다. ●  ARP의특징IP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된다. IP와 Ethernet 뿐 아니..

일일 정리 2025.01.13

VLSM, NAT,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VLSM vlsm은 네트워크를 나눌 때 서로 다른 크기의 네트워크로 분할 하는 것을 의미한다. 1.1.1.0/24 네트워크를 운용할 수 있을 때, A, B, C 세 개의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각각 80, 38, 50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분할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분할을 할 수 있다. A Net :  1.1.1.0/25      :  1.1.1.0     ~ 1.1.1.127B Net :  1.1.1.128/26  :  1.1.1.128 ~ 1.1.1.191C Net :  1.1.1.192/26  :  1.1.1.192 ~ 1.1.1.255 NAT 실제 구현이나 역할은 약간씩 다르나, NAT, PAT, masquerading으로 불리던 여러 기술이 NAT라고 쓰인다. 본래는 ..

일일 정리 2025.01.11

라우터, 네트워크 분할, 리눅스 명령어(tar, stat) + VI에디터

라우터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특별한 장치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연결해주는 기기들은 모두 라우터라고 할 수 있다.때문에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브릿지와의 차이점은 브릿지는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고,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눈다는 것이다.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만 통신이 이루어진다면 라우터가 할 역할은 없지만, 1.1.1.2/24 -> 2.1.1.2/24 처럼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없는 경우, 그 패킷은 default gateway로 전해져 라우터를 통과해 목적지에 도달한다. 만약 3.1.1.0의 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C network가 그림상 B network 오른쪽에 라우터로 연..

일일 정리 2025.01.09

스위치 허브, IP(IP,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특수 목적 IP, 리눅스 명령어

스위치 허브 스위치 허브의 작동 방식은 브릿지와 동일하다. 스위치 허브 구성과 초기 테이블이 위와 같을 경우, 스위치 허브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이 예를 들 수 있다. ※ A에서 B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스위치 1의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로 저장하지 않고, B의 주소도 있으므로 2번 포트로만 패킷을 전송한다. ※  A에서 F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스위치 1의 테이블에 A의 주소가 있으므로 새롭게 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에 F의 위치 정보가 없으므로 1번 포트 외의 모든 포트로 패킷을 흘려보낸다. 스위치 2의 테이블에는 A의 주소가 없으므로 포트 1 부분에 A의 주소를 새롭게 저장하고, 테이블에 F의 주소가 있으므로 3번 포트로만 패킷을 전송한다. ※  E에서 A로 패킷을 보내는 경우스위치 2의 테..

일일 정리 2025.01.08

이더넷의 확장 - 브릿지(Bridge), 브릿지의 작동 방식, 리눅스 명령어(리다이렉트, cat, echo, $, $(), cp, mv, rm, ln)

브릿지 (Bridge) 브릿지는 맥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패킷을 필터링한다.브릿지는 다음의 5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Learning패킷의 이동이 있으면 소스 맥주소를 살펴보고, 브릿지 테이블에 저장되지 않은 주소라면 테이블에 저장한다. - Filtering패킷의 목적지 맥주소가 자신의 브릿지 테이블에 저장되어있을 때, 목적지가 위치하지 않은 포트로는 패킷의 흐름을 막는다. - Forwarding패킷의 목적지 맥주소가 자신의 브릿지 테이블에 저장되어있을 때,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한다. - Flooding패킷의 목적지 맥주소가 자신의 브릿지 테이블에 저장되지 않은 주소일 때, 패킷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된 포트로 패킷을 흘려보낸다. - Aging오래되어 불필요한 데이터는 폐기한다. 브..

일일 정리 2025.01.07

네트워크 계층 모델, 네트워크 토폴로지, 패킷의 명칭, 이더넷 통신 방식 CSMA/CD, VMware 클론생성, 리눅스 명령어

네트워크 계층 모델 TCP/IP 계층 모델- TCP/IP 계층 모델은 1973년 처음 발표된 모델로, 하위 계층부터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계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OSI 7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은 1983년 만들어지고 1984년 출간된 모델로, 하위 계층부터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응용'계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각 개별 시스템 간에 비트단위의 신호를 전송하는 책임을 담당한다. 즉, 전기적인 신호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낼지를 신경쓴다.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은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랜카드, 브릿지, 스위치 등의 장비가 이에 해당된다.- 이 계층에서부..

일일 정리 2025.01.06

VMware에 Linux설치하기 가이드

VMware에 Linux를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작한다. 이때 VMware는 이미 설치를 완료했다고 가정한다. 1. VM 및 OS 환경 확인2. 가상머신 생성3. 리눅스 설치 의 순서로 진행된다.  1. VM 및 OS 환경 확인VMware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왼쪽 위 'Edit'에서 'Preferences'를 클릭한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맨 위 저장공간을 확인하고 OK를 클릭해서 나온다. 나는 C드라이브 밑에 VM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저장했다. 나왔으면 다시 왼쪽 위 'Edit'의 'Virtual Network Editor'를 클릭한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 되는데, VMnet1과 VMnet8의 설정을 만져본다. VMnet1을 선택한다. 처음에는..

리눅스 기본 2025.01.05